1. 특성
- 크랙 부위 양면에 약제가 침투하여 한 살이 되는 침투성. 현재 물이 흐르고 있는 누수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한 내수성. (물속에서도 경화)
- 경화가 된 후 돌보다 더 단단한 강도.
- 강 알카리성인 콘크리트(Ph 13~14)와 같은 강 알카리성인 제품 으로 중화되어 다시 하자가 발생 되지 않는 내 화학성.
2.적용범위
- 옥상누수의 가장 큰 원인은 90%이상 벽체와 바닥이 접해 있는 조인트 부위로써 옥상 전체 조인트에 20~25cm 간격으로 천공 후 주입 작업 적용.
- 옥상 누수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우수관 주변의 재료 분리가 원인으로 우수관 주변을 천공하여 주입 적용.
- 지하 주차장 천정과 보 누수부위 크랙에 주입 적용.
- 세대 내 층간 크랙은 타설 조인트로 인한 원인이 가장 크며 세대 내에서 주입 적용.
3. 윈드 아크릴 주입 방수제 특징
약제가 물속에서도 물과 섞이지 않고 완전히 경화되는 과정
4. 윈드 아크릴 방수제 활용 시공사례
옥상 방수
- 옥상의 우레탄 보호 몰탈층이 파손되고 뒤집어져 있을 경우 파손된 보호 몰탈층을 철거한 후 레미탈과 몰탈 강화제를 섞어 몰탈 작업을 해야만 시공했던 부위가 재차 들뜸 현상이 발생 하지 않는다.
- 슬라브 또는 박공지붕의 옥상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시트방수를 하고 보호 몰탈층을 해놨기 때문에 보호몰탈층이 파손되었더 라도 직접적인 누수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 누수의 원인은 벽체와 바닥이 접한 조인트 부분 이 수축과 팽창에 의하여 크랙이 생기고 이 크랙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철근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누수가 된다.
- 벽체와 바닥이 접한 조인트 부위에 20~25cm 간격으로 천공작업을 한다.
- 천공작업 한곳에 패카를 장착한다.
- 장착된 패카에 침투성 아크릴 주입제(QSI-100)를 주입한다.
- 패카를 망치로 철거 한 후 윈드 코트씰로 도포하여 마감처리 한다.
지하주차장 방수
- 지하주차장 누수원인으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바이브레다 작업(자갈과 모래가 잘 섞이게 하는 작업)이 잘 되지 않아서 자갈만 몰려 있는 경우 누수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예 : 쌀 강정)
-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들 속에 굵은 자갈이 걸려서 밑 부분은 비어 있게 되어 철근을 타고 물이 이동하는 경우가 누수의 원인이 된다. (20~30m 까지도 이동함)
- 아파트 지하1층 주차장 누수의 경우 지상에는 도로 또는 화단이 조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그라우팅 공법으로 할 경우 누수부위 에 깊이천공을 하여 패카를 장착한다.
- 장착된 패카에 윈드 그라우팅 아크릴 강화제(QSG-400)와 그라우팅 파우다를 물과 함께 믹서를 하여 그라우팅 주입기로 배면까지 흠뻑 주입한다.
- 혼합된 윈드 그라우팅 아크릴 주입제(QSI-400)를 주입 한 후 윈드 아크릴 주입제(QSI-100)를 주입하여 윈드 그라우팅 주입제가 흘러내리지 않게 주입 한다.
- 지하주차장 2,3층의 누수의 경우 크랙 에 10~15cm 간격으로 콘크리트 두께의 80% 가량 천공 하여 패카를 장착 한다.
- 장착된 패카에 윈드 아크릴 주입제(QSI-100)를 주입한다.
- 패카를 제거 한 후 윈드 코트씰(QSPU-300)로 마감 한다.
세대 방수
- 세대누수는 최상층 세대와 중간층 세대의 누수원인이 다르다. 또한 윗층의 설비로 인한 누수인지를 정확히 파악 해야한다.
- 최상층은 옥상누수원인에서도 밝혔듯이 조인트를 통한 누수와 우수관 주변의 재료분리로 인한 누수가 주 원인이다.
- 중간층의 누수 원인으로는 창틀 실리콘 박락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주 원인으로는 층간 크랙이 가장 큰 원인으로써 유입된 물이 철근을 타고 유입된 부위로부터 먼 곳까지 누수가 되는 경우가 있다.
- 최상층의 시공방법은 옥상누수 방법과 동일 하다.
- 중간층은 유입된 부위에 천공을 하고 패카를 장착한 후 윈드아크릴 주입제(QSI-100)을 주입한다.
- 석고보드를 철거 했을 경우 석고보드와 도배를 하여 마감 한다.